전기회로1

[전기기사 필기] 회로이론 13. 인덕터(인덕턴스)의 직렬접속, 병렬접속

지식은행 2021. 9. 17. 00:28

[전기기사 필기] 회로이론 13. 인덕터(인덕턴스)의 직렬접속, 병렬접속

 

 

 

 

안녕하세요. 인덕터의 접속에 대해 공식들을 알아보겠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인덕터의 직렬/병렬 접속에 대한 것은

 

인덕터가 직렬로 연결된 것의 등가저항이라는 말과 다릅니다.

마찬가지로 병렬로 연결된 것의 등가저항이 아닙니다.

 

직렬연결에서 L = L1 + L2 라는 식이 있었지만,

이 것은 상호 인덕턴스가 없을 때(즉, M이 없을 때)             M:Mutual Inductance

이며, 여기서 다루는 것은 상호 인덕턴스가 있는 경우입니다.

 

우선 인덕터는 코일을 감은 방향에 따라서 자속이 나오는 부분이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습니다.

 

먼저 같은 경우는, '가동 접속' 이라고 부르며

공식은 L = L1 + L2 + 2M [H] 입니다.

원래의 직렬접속에다가 2M을 더해주는 것이지요.      

k는 결합 계수로, 문제에서 줍니다. 완전결합은 1, 미결합은 0이지요.

인덕터는 점을 찍어서 자속이 나오는 방향을 표시합니다. 이를 통해 가동을 확인합니다.

 

 

 

 

 

 

가동이 있으면, 반대의 경우도 있습니다.

이 경우는 '차동 접속'이라고 부르며,

아래 보시면 코일이 감겨있는 방향이 반대로 되어있습니다.

이 역시도 공식은 간단합니다.

L = L1 + L2 - 2M 

 

가동에서는 +2M 이던 것이 여기서는 -2M이 되었네요.

간단하죠? 공식만 외우면 됩니다.

 

 

 

 

 

 

 

마지막으로 병렬 회로에서 입니다.

원래 병렬회로의 L의 등가 인덕턴스 구하는 방법, 기억하시나요?

저항의 병렬연결 처럼, 

이렇게 구하는 것이지요.

 

하지만, 여기서 병렬 연결 역시 상호 인덕턴스, M의 영향으로

아래와 같이 됩니다. 공식은 꼭 암기해주세요.